- 네트워크에 입문하기 위해 길벗 출판사의 모두의 네트워크를 읽으며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는 포스팅입니다.
- 혹시라도 틀린점이 있다면 망설이지 마시고 바로 알려주세요 :)
1. 네트워크의 구조
컴퓨터간의 연결을 네트워크라고 한다.
인터넷은 전세계의 큰 네트워크부터 작은 네트워크 까지 연결하는 거대한 네트워크다.
패킷은 컴퓨터 간의 데이터를 주고 받을때 네트워크를 통해 흘러가는 작은 데이터 조각이다.
큰 데이터는 작은 패킷으로 분할한다.
(데이터가 크면 네트워크 대역폭{일반적으로는 네트워크에서 이용가능한 최대 전송속도를 의미하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단위 시간당 전송량을 말한다.} 을 너무 많이 차지해서 다른 패킷의 흐름을 막을 가능성이 있음)
패킷은 순서대로 도착하지 않거나 누락될수 있어서 송신측에서 각 패킷에 순서대로 번호를 붙여서 전송해줌
-> 번호에 맞춰정렬하면 됨.
2. 정보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
컴퓨터는 0과 1만 이해한다.
정보를 나타내는 최소단위는 비트라고 하며 8비트 = 1바이트다
숫자와 문자 대응표를 문자 코드라고 한다. (e.g. ASCII)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전송할때는 비트를 전기신호로 바꿔 전송한다.
3. 랜과 왠
건물 안이나 특정지역을 범위로 하는 네트워크를 랜(Local Area Network, LAN)이라고 한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해 구축한 네트워크를 WAN(Wide Area Network, WAN)이라고 한다. (e.g. 서울 사무실 LAN과 부산 사무실 LAN 연결)
랜 | 왠 | |
범위 | 좁다(건물, 특정지역) | 넓다(랜과 랜 연결) |
속도 | 빠름 | 상대적으로 느림 |
오류 | 적음 | 상대적으로 많음 |
4. 가정에서 하는 랜 구성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와 인터넷 회선을 결정하고 계약한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와 인터넷 공유기(브로드밴드 라우터Broadband Router}, 가정용으로 만든 라우터라고 생각가능. 최근에는 허브 방화벽 등등의 기능 제공)로 접속한다.
유선과 무선 방식 2가지중 하나로 접속가능.
5. 회사에서 하는 랜 구성
DMZ는 외부에 공개하기 위한 네트워크다.
외부에 공개하는 서버는 주로
웹(웹사이트를 불특정다수 외부사용자에게 공개)
DNS(도메인이름을 사용하여 회사의 서버에 접속)
메일(외부사용자와 메일을 주고받는 역할)
회사의 서버는 온프레미스(on-premis, 사내또는 데이터 센터에 서버를 두고 운영하는 것) 또는 클라우드(인터넷으로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등의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로 운영
각 서버나 컴퓨터는 스위치나 무선랜기능으로 사내랜에 접속한다.
'도서 > 모두의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두의 네트워크 6장 - 전송 계층: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하기 (2021-03-04) (0) | 2021.03.04 |
---|---|
모두의 네트워크 5장 - 네트워크 계층:목적지에 데이터 전달하기 (2021-03-03) (0) | 2021.03.03 |
모두의 네트워크 4장 - 데이터 링크 계층: 랜에서 데이터 전송하기(2021-03-02) (0) | 2021.03.02 |
모두의 네트워크 3장 - 물리계층: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기(2021-03-01) (0) | 2021.03.01 |
모두의 네트워크 2장 - 네트워크의 기본규칙 (2021-03-01) (0) | 2021.03.01 |
댓글